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
=>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컴퓨터 세계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는 변환 과정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현실세계의 중요 데이터를 추출하여 개념 세계로 옮긴다.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개념 세계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구조로 표현한다.
데이터 모델
=> 데이터 모델링의 결과물을 표현하는 도구
- 개념적 데이터 모델: 현실세계를 사람의 머리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개념적 모델링의 결과물인 개념적 구조로 표현하는 도구이다.
- 논리적 데이터 모델: 개념적 구조를 논리적으로 모델링하여 논리적 구조로 표현하는 도구이다.
개체-관계 모델
=>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이용해 현실 세계를 개념적 구조로 표현하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
- 개체: 현실 세계에서 조직을 운영하는 데 꼭 필요한 사람이나 사물과 같이 구별되는 모든 것
- 속성: 개체나 관계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
- 관계: 개체와 개체가 맺고 있는 의미 있는 연관성
개체-관계 다이어그램
- 개체-관계 모델을 이용해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모델링한 결과물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E-R 다이어그램”이라고 부른다.
- 기본적으로 객체-사각형, 개체 간의 관계-마름모, 개체나 관계의 속성-타원과 각요소들을 연결하는 선으로 구성된다.
논리적 데이터 모델
- 관계 데이터 모델: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가 2차원 테이블 형태이다.
- 계층 데이터 모델: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가 트리 형태이다.
-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가 그래프이다.
다른 개체의 존재 여부에 의존적인 개체가 무엇인지? 약한 객체
다른 개체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개체가 무엇인지? 강한 객체
데이터 모델링과 데이터 모델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데이터 모델링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컴퓨터 세계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기는 변환 과정을 의미한다.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모델링의 결과물을 표현하는 도구를 의미한다
데이터 모델링 과정을 두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시오
1. 현실 세계의 중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개념 세계로 옮기는 작업을 개념적 모델링 과정이라 한다.
2. 개념 세계의 데이터를 어떤 구조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것인지를 미리 결정하고 그에 따른 구조로 표현하는 작업을 논리적 모델링이라고 한다
모든 내용은 한빛 출판사의 데이터베이스 개론 3판을 배경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