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수업, CS/네트워크 8

http 응답 코드

200: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 201:created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고,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음 400:bad request 요청 값이 잘못되어 요청에 실패함 403:forbidden 권한이 없어 요청에 실패함 404: not found 요청 값으로 찾은 리소스가 없어 요청에 실패함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 상에 문제가 있어 요청에 실패함. http 주요 응답 코드 코드 매핑 메서드 설명 200 OK isOk( ) http응답 코드가 200 OK 인지 검증 201 Created isCreated( ) http응답 코드가 201 Created 인지 검증 400 Bad Request isBadRequest( ) http응답 코드가 400 Bad Requ..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유/무선 데이터 전송

스마트폰이 보급됨에 따라 인터넷은 무선환경의 이동 서비스를 보편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전통적인 유선환경의 인터넷 호스트의 IP주소가 고정되고, 이 주소를 기반으로 경로를 선택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호스트가 이동하면 IP 주소의 변경 여부에 따라 경로 선택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호스트가 이동하면 전송되는 데이터들의 전송 경로로는 새로운 위치로 바뀐다. 이때 서비스가 끊기지 않으면서 새로운 목적지로 전송 경로가 바뀌어야 한다. 인터넷에서 IP 프로토콜은 IP 주소로 근거로 라우팅하므로 IP 주소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새로운 검토가 필요하다, IP 주소는 전달 경로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정보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IP, TCP]

인터넷 프로토콜 (IP) 인터넷 환경에서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로 이용되는 IP는 호스트 주소 표기, 패킷 분할에 관한 기능을 지원하지만, 단대단 형식의 오류제어나 흐름 제어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IP 프로토콜에서 라우터 간의 패킷을 중개할 때는 best effort 라는 원칙에 따라 전송하는데, 이 방식은 정송 패킷이 수신 호스트에 100% 도착하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IP프로토콜에서 제공하지 않는 전송 오류 문제를 상위 계층에서 고려해야 한다. IP프로토콜의 주요 특징으로는 ‘비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패킷을 분할/병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체크섬은 제공하지 않고, 헤더 체크섬만 제공한다’, ‘Best Effort 원칙에 따른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가 있다...

데이터 전송 방식 [단방향, 전이중, 반이중]

단방향 방식: 데이터를 오른쪽이나 왼쪽의 한 방향으로만 전송하는 방식. 라디오와 TV가 대표적이다. 전이중 방식: 양쪽에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며 전송량이 많고, 전송 매체의 용량이 클 때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전화, 전용선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있다. 반이중 방식: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양쪽 방향에서 전송할 수 없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무전기, 모뎀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있다. 단방향 통신은 데이터의 흐름이 한 방향으로만 한정되어 있는 통신방식이다. 양방향식의 경우 가정에서의 전화와 같이 송신과 수신이 가능하지만, 단방향통신은 일반적인 송신 또는 수신만이 가능하다. 단방향 통신은 대표적으로 TV 방송과 라디오가 있는데, 데이터를 수신만 할 수 있고, TV나 라디오를 통해 데..

데이터 전송

정보공유 => 컴퓨터의 하드웨어 뿐 아니라 각 호스트에서 제공하는 논리적인 정보를 공유하는 것. 병렬 처리에 의한 성능 향상 => 하나의 공유 시스템 버스에 다수의 메인 프로세스를 장착하거나 I/O 장치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I/O전용 프로세서를 설치하는 것이 예제. 시스템이 수행할 작업을 분할해 동시에 처리함으로써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중복 저장에 따른 신뢰성 향상 =>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중요한 정보를 여러 시스템에 중복 저장하여 정보의 접근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송과 라우팅 => 송신 호스트가 수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전송과 교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교환은 전달경로가 둘 이상일 때 라우터에서 데이터를 어느 방향으로 전달할지를 ..

네트워크 기술

라우팅 기능 회선교환: 시스템은 고정 대역으로 할당된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회선에 할당된 고정 크기의 안정적인 전송률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다른 연결에서 이 대역을 사용할 수 없다. 회선 교환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연결에 대하여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가 동일한 경로로 라우팅 된다. 패킷 교환 시스템은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를 미리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므로 패킷을 기준으로 라우팅이 이루어진다. 패킷 교환에는 모든 패킷의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는 가상회선 방식과 패킷들이 각각의 경로로 전송되는 데이터그램 방식이 있다. 라우팅 시스템 => 전송 선로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전용 회선을 이용하거나 교환 회선을 이용할 수..

네트워크 개념

계층적 모델 구조 모듈화: 복잡한 시스템을 기능별로 모듈화 하면 시스템 구조가 단순해저서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기 쉽다. 또한 각 단위 모듈이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고장이나 업그레이드 등의 상황에 손쉽게 대처할 수 있다. 계층구조: 분할된 모듈들은 협력 관계를 유지하면서 유기적으로 동작한다. 모듈 구조는 서로 동등한 위치에서 서비스를 주고받을 수도 있고 특정 모듈이 다른 모듈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 구조를 이루기도 한다. 네트워크에서는 독립적인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들이 상하 계층 구조로 연결되어 동작한다. - 복잡하고 큰 시스템을 기능별로 작게 분류해서 간단하고 작은 시스템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 상하 계층에 인접한 모듈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분할된 모듈이 연동할 수 있는 표준..

네트워크 기초

공부방법 네트워크는 학교에서 기초 전공 과목으로, 배운 내용을 1차로 정리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 할 예정입니다. 시험 공부를 하면서 요약한 내용을 업로드 할 예정이므로 아마 한번에 글이 많이 올라올 것 같습니다. 용어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시스템: 내부 규칙에 따라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대상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촉지점 전송매체: 물리적인 전송수단 프로토콜: 상호 연동되는 시스템이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 표준화된 대화 규칙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이들을 하나의 단위로 통칭한 것 인터넷: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 노드: 인터넷 내부를 구성하는 라우터와 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