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수업, CS/수치해석 12

다변수 방정식(이분격자법, 영점곡선 추적, 경사도 탐색법)

이차원 이분 격자법 어떠한 영역에 임의로 수평,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의 선을 긋는다는 것은 여러 격자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나누어진 선 각각에 대하여 그 선을 기준으로 영점 교차에 대한 이분법이 행해진다. 이로서 함수의 궤적은 그래프 상에 찍힌, 즉 분할된 사각형의 변에 찍힌 점들을 연결하여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로 그러진 선들 각각에 대해 이분법을 행해서 얻어진 점들을 영점이라고 한다. 이때 임의로 정한 영역을 수평, 수직으로 나누는 선들은 이이 함수의 궤적을 비교적 정확히 찾아내기 위하여 영점 교차들이 적합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정한다. 또 이 선들과 만나지 않는 함수의 부분은 검출되지 않는다.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inv 0.05 #define err..

방정식&함수(이분법, 뉴튼랩슨법, 할선법, 가상위치법, 중근, 극값)

이분법 연속 함수의 경우, 실근의 전후에서의 함숫값은 서로 다른 부호를 갖는다. 중근의 경우 X축과 접하여 부호 변화가 없다. X축과 교차하여 통과할 때 이분법에서는 우선, 어떤 구간의 양 경곗값에서 함수 값의 부호의 변화가 있는지 먼저 검사한다. 그 후 부호의 변화가 있으면, 그 구간 내에 근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근이 사이에 있는 구간을 반으로 나누어 두 개의 새로운 구간을 만든다 두 개의 구간 중 부호의 변화가 있는 구간을 찾아내어 위의 과정을 원하는 정밀도까지 반복한다. #include #include #include double eval_f(double x) {/*evaluation of f(x)*/ double y; y = log(x + 5.0) + x; return (y); } int 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