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아이템의 소개
AI와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에서 발생한 사고 해결 시간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운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특정 도로로 운전자의 몰림을 방지하며, 모든 도로가 활발하게 사용될 수 있게 하고, 목적지까지 보다 빠르게 도착할 수 있게 도움을 주며,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인공지능이 파악하여 최적의 경로를 지정해 주는 정보 서비스 프로그램이다.
창업아이템의 차별성
1. 빅데이터와 AI를 이용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다양한 사고 처리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지역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처리까지 얼마의 시간이 걸리는지, 이를 기반으로 얼마의 시간이 지나면 도로의 정체가 풀리는지 알려준다.
2. 정체구간을 알려주어 일정 도로로 차량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며, 모든 도로가 활발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 한다.
3. 인공지능이 평소 사용자의 운전 패턴을 파악하여 성향에 맞는 경로를 추천해 준다.
창업아이템의 사업성
사업화가 가능한 근거 및 아이디어 실현 가능성
지금까지 길 안내 어플이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찾아볼 수 없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특허 출원이 가능하다.
경찰청 또는 국토교통부와 데이터 사용에 관한 저작권 계약을 체결하면, 어렵지 않게 아이디어를 실현 할 수 있다.
다양한 사람들에게 아이디어의 사용 여부에 대한 설문을 조사하였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시제품을 써보고 판단한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사업화 추진 계획
구글, 네이버, 카카오과 같은 포털 사이트에서 사용 중인 로드맵(openstreetmap)과 관련 저작권 계약을 체결한다.
교통정보센터, 보험회사, 경찰청, 국토부 등 교통서비스와 관련된 공공데이터의 사용 유무를 허가 받는다.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분석하는 인공지능을 프로그램 한다.
‘2’번의 각종 데이터와 ‘1’번 도로 데이터 그리고 인공지능을 결합하여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을 생산한다.
베타서비스 시행 후 보완점이 있을 시 추가적으로 기능을 설치한다.
베타서비스 종료 후 정식 서비스를 시행한다.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도로 정보를 제공한다.
-->교통량을 증가시켜, 부정적인 교통체증이 아닌 소비를 촉진시켜 국가 GDP를 증가시킨다.
-->전 도로를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한다.
개요(사업제안 배경 및 아이디어)
배경
서울 시내를 주행하던 중 내비게이션이 사고가 발생한 구역으로 안내를 한 적이 있다. 그래서 만약 내비게이션이 사고 수습 및 원상 복구시간을 예측하여서 안내해주어서, 내비게이션에서 알려주는 정체되지 않는 도로 정보를 통해서 몇 개의 도로로 차량이 모이지 않게 차량을 안내해 준다면 사고로 인해서 정체되는 구간이 해소 될 뿐만 아니라 운전가가 조금 더 빨리 도착지에 도착 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기반으로 이러한 아이디어를 생각하게 되었다.
취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고가 나서 길에 정체구간이 생겨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이 길어지면 불편해 한다. 그렇기 때문에 운전자가 막히는 길을 피하고 도로의 순환을 활성화 시킬 취지로 기획하게 되었다.
목적
도로의 순환을 해소시켜 전국의 국토로 모든 운전자들이 막힘없이 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서 즐거운 여행길을 추진하여 많은 소비가 발생하여 나라의 내수 시장의 정체기를 완화할 목적이다.
동기
고속도로를 주행하던 중 내비게이션이 항상 도로 사용료를 내는 길로만 안내를 하여서 '왜 항상 사용료를 내는 길로만 안내를 할까?' 라는 의문을 시작으로 어쩌면 사용료를 내는 길로만 안내를 하여서 사고가 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통해서 위의 아이디어를 가지기 시작했다.
아이디어 내용
사고차량이 빠져나와 도로의 정체가 언제쯤 해결 될지 AI와 각종 사고 분석 축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해 각종 사고 데이터를 분석 예측하여 한쪽 도로로 차량이 몰리지 않고, 운전자가 목적지까지 빠르게 도착할 수 있게 도와주며,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인공지능이 파악하여서 운전자에게 맞는 경로를 추천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창업아이디어 구체적 내용
대상고객
기존 내비게이션 및 길 안내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새로 차를 산 사용자
기존 문제점
기존 내비게이션은 교통체증 및 사고 상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해당 정체 구간을 피해갈 수 있는 경로를 탐색하지만, 이 과정에서 탐색된 경로로 많은 차들이 몰리면 또 다른 교통체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아이디어 혜택
1. 사고지점까지의 도착시간, 사고가 정리되어 교통이 정리되기까지의 예상 시간 등을 종합 분석하여 최적의 경로를 안내 함으로서, 사고로 의해 탐색 된 경로로 교통이 몰리는 문제를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다.
2.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인공지능이 파악하여서 시간이 오래 걸려도 아름다운 길을 좋아하는지, 조금 길을 돌아가도 정체되지 않는 도로를 선호하는지, 조금 정체가 되어도 짧은 길을 선호하는지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여서 상황에 맞는 길을 추천해 주어 때때로 대한민국의 다양한 길을 다녀볼 수 있다.
3. 운전자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서 다양한 길을 다녀보면 각 지역 간의 이동이 활발해 지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이를 통해 해외보다 국내로 여행을 떠나는 여행자들이 많아지면 각각의 지역경제가 활성화 되는 효과를 불러 올 수 있다.
아이디어의 구성내용 및 작동원리
1.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CCTV와 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정체구간을 파악합니다.
2. 시간, 도로, 거리, 요금이 기준으로 시간이 가장 적게 걸리는 경로를 우선시하고, 소요 시간이 같다면 넓은 도로를 기준으로 탐색하고 또 같은 조건이라면 위 네 가지 기준을 종합해 알려줍니다.
3. 만약 중간에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이미 그 구간에 들어간 사용자에게는 사고 완료시간을 예측하여 만약 그 길에 계속 있을 경우와 다른 길로 들어갔을 경우의 데이터를 비교해서 경로를 재 선택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그 구간에 들어가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해결 완료시간과 동시간대 교통 체증 량을 비교하여서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해 줍니다.
4.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모집하여 인공지능이 분석을 한 뒤, 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성향에 맞는 경로를 추천해 준다.
해당 아이디어는 2020년 창업 공모전 당시 제출했던 기획서 초안 입니다.
당시 기술력과 시간상의 문제로 끝까지 가지는 못했지만 최근에 해당 아이디어를 살려 다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데이터 활용방안 [스타트업 온라인 컨설팅] (0) | 2023.07.24 |
---|---|
ESG 경진대회 [지방 일자리 창출] (0) | 2023.07.24 |
게임 기획서[리듬게임:Beat to Mugeon] (0) | 2023.07.24 |
포스트 코로나(Post-Corona19) 시대를 선도할 혁신 아이디어 제안서 (0) | 2023.05.30 |
지역 사회 마켓 (1)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