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8

다시 시작할 프로젝트

대학교 때 했던 프로젝트를 몇 개 선점해서, 다시 시도해 보려고 합니다. '농수산물 플랫폼' -> '여행사 홈페이지'Django 사용 블로그 -> 여행 후기 남기는 홈페이지1node.js 사용 블로그 -> 여행 후기 남기는 홈페이지2 또한 블로그에 '다시 시작하는' 이라는 카테고리를 제작하여 올해부터는 여기에 글을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포함될 내용으로는 운영체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알고리즘, 자료구조 입니다개발 후기 및 개발 기록개발 코드에 대한 설명기획 설명위와 같은 내용이 담길 예정이며 차차 그 내용이 증가할 예정입니다.  'IT 지식' 이라는 카테고리를 만들고 사용하지 않았는데, 여기에 하루에 1개의 지식을 자세하게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회고/2025년 2025.03.14

java.lang.ExceptionInInitializerError

발생 상황: local에 JDK17이 있고 STS3에서 spring legacy project를 동작시키려 할 때 발생하는 오류 해결 방법sts 설치 경로에서 STS.ini 파일 실행 후 수정- 수정내용 : -vm 아래에 경로 등록  → jdk11설치폴더\bin\javaw.exe   참고 블로그 [Spring] java.lang.ExceptionInInitializerError* 발생 상황 : 스프링 3.9.17 버전을 설치하고 'Spring Legacy Project - MVC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발생한 에러 * 주 원인 : Spring Legacy Project가 java 17을 지원하지 않아서 발생 - 현재 설치된 JDK : oraclejdk 17.0.eh0322.tistory.com

오류/Tool 2025.02.24

디자인 패턴

Factory PatternFactory Pattern은 객체 생성 과정을 사용하는 코드로부터 분리하고 추상화하여 설계의 유연성과 유지 보수성을 높이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상속 관계를 활용하여 상위 클래스에서 중요한 설계 뼈대를 정의하고, 하위 클래스에서 구체적인 객체 생성 로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주요 특징 및 장점느슨한 결합 (Loose Coupling)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 간 결합도가 낮아져 독립적인 설계가 가능합니다.상위 클래스는 객체 생성 방식에 대한 세부 정보를 알 필요가 없으므로 코드의 확장성과 유연성이 높아집니다.유지 보수성 향상객체 생성 로직이 별도로 분리되므로, 코드 수정 시 객체 생성 관련 부분만 수정하면 됩니다.코드 리팩터링이나 확장이 필요한 경우, 최소한..

1년 회고

아직 올 한해를 되돌아 보기에는 빠른 타이밍 같지만 올해 여러가지 일들이 발생했기 때문에 이쯤에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또한 그 동안 약속 했지만 지켰던 것들, 지키지 못한것들, 앞으로 계획해 나갈 내용을 바탕으로 오랜만에 글을 작성합니다.  자격증3월 SQLD시험을 치르고 합격을 했습니다. 6월에는 SeSAC에서 하는 교육을 이수를 했습니다. 해당 과정을 하면서 RHCSA라고 하는 리눅스 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또한 정보처리기사도 병행해서 시험을 치뤘지만 필기만 합격하고 실기는 불합격 했습니다. 11월에는 2회차 정보처리기사에서 불합격한 실기를 치르고 가채점 결과 합격이었습니다. 아마 최종발표는 12월 11일에 나올 것 입니다. 그리고 12월을 앞두고 있는 지금은 대학교 졸업 시험을 준비하고 있습..

회고/2024년 2024.11.21

Attempt to recreate a file for type

발생 상황 Spring boot 진행 중 일정 파일의 로직 변경 후 gradle 에서 compileJava를 했지만 Attempt to recreate a file for type 해당 오류가 계속 발생하는 현상 이에 따라 clean -> compileJava도 해보았지만 해결이 되지 않았다. 해결 방법 intellij ->setting -> build tools -> gradle 에서 gradle을 intellj로 변경해준다. 발생 원인 파일이 중복해서 쌓여 저장되는 형식이라서 그렇다고 했다. 참고 글 https://lahezy.tistory.com/94 query dsl 파일 중복생성, 파일을 찾지 못하는오류 Attempt to recreate a file for type 어제까지는 잘 빌드되던 게 ..

오류/Tool 2024.04.04

Git ID/PW(Access-token) 매번 입력

발생 상황 git에 코드를 push할 때 git의 id와 access token을 입력하라고 매번 발생하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매우 귀찮은 상황이기도 했다. 따라서 이를 해결 하는 방법에 대해서 요약을 했다. 해결 방법 1.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방법 git config --unset credential.helper //기존에 세팅된 데이터를 해제할 때 사용한다. git config credential.helper store 2. credential 정보를 특정 시간 동안 git cache에 임시로 저장하는 방법 git config --unset credential.helper //기존에 세팅된 데이터를 해제할 때만 사용 git config credential.helper cache git config ..

오류/Tool 2024.03.31

allauth.socialaccount.models.SocialApp.DoesNotExist

발생 상황 Django의 python manage.py test를 했지만 allauth.socialaccount.models.SocialApp.DoesNotExist 해당 오류가 발생함 해결 방법 setting에서 아래와 같은 코드 추가 SOCIALACCOUNT_PROVIDERS = { "google": { "APP": { "client_id": os.getenv("GOOGLE_CLIENT_ID"), "secret": os.getenv("GOOGLE_SECRET_KEY"), "key": "" }, # These are provider-specific settings that can only be # listed here: "SCOPE": [ "profile", "email", ], "AUTH_PARAMS..

오류/Django 2024.03.31

STS3에서 spring mvc project 안보이는 문제 해결

발생 상황 sts3에서 spring mvc project를 만들어야 하는데, 보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 맨 처음에는 단순하게 버전 업 때문인줄 알았지만 구글링을 통해서 오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해결 방법 파일을 지우고, 각각의 버전을 맞추는 다양한 방식이 있지만, 개개인의 컴퓨터에 따라서 해결이 되는 상황이 있고 안되는 상황이 있어서 다음의 파일을 다운받아서 사용했다. 파일 사용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 된다. sts 종료 후, 해당 프로젝트의 워크 스페이스로 이동한다. .meta -> plugins -> org.springsource.ide.eclipse.commons.content.core로 이동한다. 해당 폴더가 비어있을 텐데, 여기에 위의 파일을 붙여넣는다. 다시 sts를 실행한다...

오류/Tool 2024.03.25